책과 함께

지혜롭게 나이 든다는 것 - 마사 누스바움, 솔 레브모어(20190319)

대명이 2019. 4. 26. 15:54


<책소개>

나이듦에 대한 지적 탐구!

움베르토 에코, 노엄 촘스키와 더불어 《포린폴리시》 선정 ‘세계 100대 지성’에 이름을 올린 시카고대 석좌교수 마사 누스바움과 로스쿨 전 학장 솔 레브모어, 두 사람이 때론 겹치고 때론 상반되는 목소리로 들려주는 나이듦에 관한 다채롭고 풍부한 통찰 『지혜롭게 나이 든다는 것』. 키케로의 《나이듦에 대하여》을 참조한 이 책은 60대에 들어선 두 친구의 대화라는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모든 장은 나이듦을 다룬 에세이 두 편씩을 짝지어 놓았다.

자녀들에게 어떻게 공평하게 유산을 나눠줄 것이며 노년에 그들과 어떻게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셰익스피어의 《리어왕》을 반면교사 삼아 해소해주고, 과거에 대한 회고를 통해 자기 인생 속 여기저기 흩어진 기억의 조각들을 이어붙이면서 우리 삶을 더 의미 있고 가치 있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유진 오닐의 희곡 《밤으로의 긴 여로》 등 문학사에서 빛나는 작품과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철학자들을 인용하며 제시하기도 한다.

두 저자는 서로의 글에 응답하거나 동의하기도 하지만 각자 다른 성격과 학문적 접근법을 지녔기에 다른 생각을 내놓기도 한다. 우정, 나이 들어가는 몸, 적절한 은퇴 시기, 나의 과거 등을 함께 생각하고, 은퇴하기 적합한 시점은 언제인지, 유산을 어떻게 적절하게 나눠줄 수 있을지 등 보다 실용적인 삶의 지침을 전한다. 또 노년의 경제적 불평등과 노인빈곤, 노인혐오 같은 문제를 어떻게 해소할 수 있을지, 우리가 떠난 후에도 계속될 세상에 우리는 무엇으로 기여할 것인지를 물으며 나를 돌보는 것을 넘어 타인과 세상을 함께 돌보게 한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목차

머리말: 지혜롭게 나이 들기 위한 지적 여정

1장 나이듦과 우정
나이듦에 관하여, 우정에 관하여: 키케로와의 가상 토론 / 마사
친구, 삶이라는 모험의 동반자 / 솔

2장 나이 들어가는 몸을 어떻게 대할 것인가
주름살이 매력적일 수 있을까? / 솔
우리 몸, 우리 자신을 돌본다는 것: 나이듦, 낙인, 그리고 혐오 / 마사

3장 지난날을 돌아보며
과거를 통해 앞으로 나아가기: 회고적 감정의 가치 / 마사
후회 대신 만족하는 삶 / 솔

4장 리어왕에게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통제권을 상실할 준비 / 마사
유산 분배와 상속, 그리고 돌봄 비용 지불하기 / 솔

5장 적절한 은퇴 시기를 생각한다
정년퇴직이 필요한 이유 / 솔
강제 은퇴에 반대한다 / 마사

6장 중년 이후의 사랑
나이 드는 여성의 연애와 섹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거짓말, 셰익스피어의 바른말 / 마사
좀 더 모험적인 연애를 바란다 / 솔

7장 노년의 빈곤과 불평등에 관하여
노인빈곤과 불평등의 해소 가능성 / 솔
인간의 역량이라는 관점에서 본 노인빈곤과 불평등 / 마사

8장 무엇을 남길 것인가
나눔의 역설과 나름의 해결책 / 솔
나이듦과 이타성 / 마사

감사의 말

[예스24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