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소설가 공지영이 오늘을 사는 모든 이들에게 전하는 응원의 메시지
공지영 산문집 <네가 어떤 삶을 살든 나는 너를 응원할 것이다>. 소설가 공지영이 2년 만에 펴낸 이 산문집은 소설「즐거운 나의 집」의 연장선상에 있는 책이다.「즐거운 나의 집」의 주인공 위녕에게 보내는 편지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위녕은 단순히 소설 속 허구의 인물이 아닌 작가의 실제 딸이다. 공지영은 작가로서의 입장을 버리고, 평범한 엄마의 마음으로 딸 위녕을 대한다.
이 책은 작가가 10대를 지나 청년기에 들어서 새로운 세상에 눈을 뜨는 딸 위녕에게 전하는 응원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어머니 공지영'은 충고나 잔소리 대신 진솔한 경험담을 바탕으로 사랑에 대해, 우정에 대해, 직업에 대해, 삶에 대해 이야기한다. 딸과 함께 독서체험을 공유하며 책을 통해 인생을 배워나가기도 하고, 다시 20대 여자 아이로 돌아가 딸과 같이 생각하며 새로운 깨달음을 얻기도 한다.
딸에게 조곤조곤 들려주는 삶의 메시지는, 세상과 자신의 삶을 성찰한 원숙한 작가의 내면세계를 고스란히 보여준다. 책 전반에 흐르는 작가의 이야기에는 사람들이 눈여겨보지 않는 것들에 대한 따뜻한 시선이 담겨 있으며, 어제를 밑바탕으로 삼아 오늘을 살고 내일을 준비하는 자세가 스며들어 있다. 이러한 메시지를 통해 작가는 딸 위녕을 비롯한 세상의 모든 사람들을 응원한다. [양장본]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목차
잘 헤어질 남자를 만나라
그게 사랑인 줄 알았던 거야
칭찬은 속삭임처럼 듣고, 비난은 천둥처럼 듣는다
만일 네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저 한순간에 지나지 않는 때일망정 소중히 여기지 않으면 안 된다
네가 어떤 인생을 살든 나는 너를 응원할 것이다
삶은 우리보다 많은 걸 알고 있는 거 같아
희망은 파도처럼 부서지고 새들처럼 죽어가며 여자처럼 떠난다
네 자신에게 상처 입힐 수 있는 사람은 오직 네 자신뿐이다
신은 우리 마음이 더욱 간절해지기를 기다리신 거야
인생에는 유치한 일이 없다는 것을 알았다
그녀에게도 잘못은 있었다
제가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을 구분하게 해 주소서
소망은 수천 가지이지만 희망은 단 하나뿐이다
작가가 되고 싶다면 돈을 벌어야 해
행복한 사람을 친구로 사귀렴
사랑은 아무도 다치게 하지 않는다
해야 한다는 성명서
우리 생에 정말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마음은 헤아릴 수 없이 외로운 것, 오래전에 울린 종소리처럼
쾌락과 행복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바랄 나위 없이 삶이 만족스럽다
매일 내딛는 한 발자국이 진짜 삶이다
풀잎마다 천사가 있어 날마다 속삭인다. 자라라, 자라라
에필로그 - 다행이다, 정말 다행이다
작가후기 - 보이지 않아도 널 응원하고 있단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책속으로
네가 놀란 눈으로 엄마를 바라보았지. 엄마는 젊은 날의 고난이 사람을 얼마나 풍요롭게 하는지 말하고자 했던 거야. 하지만 너는 그 말에 수긍하려고 하지 않았어. "그런 고난이 있는 것보다 없는 것이 더 난 건 사실이잖아. 엄마도 내가 그런 일을 당하지 않으면 하고 바라잖아?"
물론 위녕, 그건 사실이다. 이 세상에 당해서 좋은 고난이란 게 있겠니? 하지만 위녕, 엄마의 말을 잘 들어라. 고난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온다. 아니 어쩌면 불공평하게 오지. 착하게 사는 사람에게나 나쁘게 사는 사람에게나 공평하게 닥치니까. 그런데 3층 집을 지었을 때 태풍으로 그 집이 무너진 사람하고, 아무 시련 없이 40층 집을 지어놓은 사람이 태풍으로 집이 무너지는 일하고는 너무도 다른 일이야. 3층 집이 무너졌을 때 그 무너짐을 받아들이고 다시 집을 지어본 사람하고 그런 일 한번 없이 나이 든 사람은 다른 거야.
그리고 더 솔직히 말하면 그런 일이 일어났다면 이제 우리는 생각하는 수밖에 다른 방법이 없기도 해. 여러 번, 되풀이해서 머리를 쥐어뜯으며 그런 일이 없었다면 얼마나 좋을까, 사흘만 생각하고, 그리고 끙차, 하고 힘을 낸 다음 생각하는 거야. '내가 어찌해도 이 일은 일어났다. 그러니 침착하게 생각하자. 자, 이제 어떻게 할 것인가.' - 본문 163~164쪽에서
더 많이 사랑할까봐 두려워하지 말아라. 믿으려면 진심으로, 그러나 천천히 믿어라. 다만 그를 사랑하는 일이, 너를 사랑하는 일이 되어야 하고, 너의 성장의 방향과 일치해야 하고, 너의 일의 윤활유가 되어야 한다. 만일 그를 사랑하는 일이 너를 사랑하는 일을 방해하고 너의 성장을 해치고 너의 일을 막는다면 그건 사랑을 하는 것이 아니라, 네가 그의 노예로 들어가고 싶다는 선언을 하는 것이니까 말이야. 179
또 가끔 사람들은 말하지. '인생에서 상처 받은 사람들이 한 둘이야?' 엄마는 이런 어법을 아주 싫어한다. 암으로 죽어가는 사람이 있다고 해서 너의 후두염이 경시 받아도 된다는 뜻은 아니니까. 인생은 고통 콘테스트가 아니잖아. 엄마의 고통도 너의 고통도 모두가 존중 받아야 하니까. 190
고통 당하는 사람은 자신의 고통을 자신과 동일시하기
때문에 고통과 작별하는 것을 두려워한다.
왜냐하면 고통은 그가 알고 있는 것이지만, 그 고통을
놓아버린 후에 그를 기다리고 있는 것은 그가 모르는 것이기때문이다. 100
그런데 말이야. 그래도 모두가 살아내는 또 하나의 이유는 오르막은 다 올라보니 오르막일 뿐인 거야. 가까이 가면 언제나 그건 그저 걸을 만한 평지로 보이거든. 가까이 있다는 이유로 눈이 지어내는 그 속임수가 또 우리를 살게 하는지도 모르지. 15
[알라딘 제공]'책과 함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무도 쓸쓸한 당신 - 박완서 (0) | 2015.04.15 |
---|---|
그래도 행복해지기 - 박완서 신달자 외 지음 (0) | 2015.04.04 |
음악에세이 - 박지은 (0) | 2015.04.04 |
엄마, 나 갔다올게! - 여행에세이 (0) | 2015.02.25 |
하나님의 셰프 - 마창선 (0) | 2015.02.25 |